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객 요구사항을 설계 사양으로 바꾸는 방법

by asvva 2025. 7. 13.

기계설계 프로젝트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는 "고객이 원하는 것과 실제 설계 결과물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이는 대부분 요구사항을 명확히 해석하지 못하거나, 설계 사양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누락·오해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어떻게 분석하고, 이를 실질적인 설계 조건과 사양으로 정리할 수 있는지 실무 중심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고객 요구사항 수집 단계

1) 고객 커뮤니케이션 방식 정리

- 전화, 이메일, 회의 등 구두 전달 내용도 반드시 문서화 - 요구사항 인터뷰 시 음성 녹음 또는 필기 병행 권장

2) 사용 환경과 용도 확인

- 제품이 작동할 장소, 온도, 습도, 하중 조건 등 수집 - 사용자 대상, 작동 주기, 유지보수 요구까지 포함

3) 고객의 우선순위 파악

- 디자인 vs 성능 vs 가격 등 어떤 요소를 가장 중시하는가 - ‘필수 요구’와 ‘선택 가능 요구’ 구분

2. 요구사항을 설계 사양으로 전환하기

1) 기능 요구 → 구조적 설계 요소 정의

- 예: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으로 닫히게 해주세요” → 센서 입력 + 전동 액추에이터 설계 필요

2) 수치화 가능한 조건으로 환산

- “가볍게 만들어주세요” → 5kg 이하 - “고정이 잘 되게” → 인장력 200N 이상

3) 사양서(Specification Sheet) 문서화

- 항목별로 기능, 성능, 재질, 치수 등 기술 사양 정리 - 설계팀·생산팀·검수팀 모두 참고 가능한 기준 문서로 활용

3. 사양 변환 시 유의할 점

1) 명확한 기준 없이 추측 설계 금지

- 불명확한 표현은 고객에게 재확인 필수 - 유사 사례 기반 예측보다는 확인된 수치 기반 접근

2) 모든 요구를 한 번에 반영하지 말 것

- 제품의 핵심 기능에 집중한 뒤, 선택 요구사항은 단계적 반영 - 초기 설계 범위 명확히 설정

3) 사양 변경은 반드시 기록

- 회의 중, 전화 중 변경된 요구사항도 반드시 사양서에 반영 - 버전 관리 통해 추후 분쟁 예방

4. 실무 적용 전략

1) 요구사항 명세서(Quality Requirement Document) 작성

- 고객이 요청한 사항을 기능별, 항목별로 정리 - 확인자 서명 혹은 승인 절차로 합의 확보

2) 설계 사양서(Technical Specification Sheet)와 연동

- 실제 설계 기준이 되는 수치/조건 기입 - 도면/모델링과 연결 가능한 정보 중심 구성

3) 피드백 루프 설정

- 초기 설계 완료 후 고객과 검토 회의 실시 - 사양서와 실제 설계가 일치하는지 확인 및 조정

5. 예시: 요구 → 사양 전환 사례

고객 요구 설계 사양으로 변환
작고 가볍게 해주세요 최대 외형: 200x150x100mm / 중량: 3kg 이하
100kg까지 버틸 수 있어야 해요 정하중 조건 하중 강도 ≥ 1000N
밖에서도 써야 돼요 IP54 이상 방진·방수 / 사용 온도 -10~40°C

마무리하며

설계는 단지 도면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기대를 실현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의 언어를 엔지니어의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설계 사양으로 명확히 정의하고, 문서화하여 관리하는 것이야말로 오류 없는 설계를 위한 첫걸음입니다. 반복되는 설계 변경과 고객 불만을 줄이려면, 요구사항 분석과 사양 정의부터 꼼꼼히 접근해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1. 고객이 말로만 설명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음성 기록 또는 회의 요약 후 문서로 재작성하여 고객에게 확인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2. 사양서를 꼭 별도로 만들어야 하나요?

설계 도면과 별도로 사양서를 두면, 기능 검토·생산 의뢰·검사 기준서로도 활용 가능하여 훨씬 효율적입니다.

3. 요구사항이 계속 변경될 경우 어떻게 대응하나요?

사양서에 버전 관리 및 변경 이력 항목을 포함시켜 변경 사유와 일자를 명확히 남기면 혼선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