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계설계 데이터 관리 팁 (PDM 개념 포함)

by asvva 2025. 7. 14.

기계설계 업무는 다양한 데이터의 집합체입니다. 수많은 CAD 파일, 도면 버전, 조립도, 부품 리스트, 고객 사양서 등 설계자가 다루는 정보는 방대하고 복잡하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낡은 도면으로 생산하거나 잘못된 파일을 사용해 전량 재작업하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실무 팁과, PDM(Product Data Management) 시스템의 개념과 필요성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1. 기계설계 데이터란?

1) 주요 설계 데이터 종류

- CAD 도면(2D/3D), 부품 파일, 조립 모델 - BOM(Bill of Materials, 자재명세서) - 도면 승인 문서, 사양서, 해석 결과, 설계 변경 이력

2) 왜 관리가 중요한가?

- 파일 누락, 버전 혼동, 중복 설계, 고객 요구 반영 누락 방지 - 생산 및 품질 부서와의 원활한 정보 공유

2. 설계 데이터 관리의 기본 원칙

1) 파일 구조 통일

- 프로젝트/부품명 기준 폴더 구조 설정 - 예: 00_모델링 / 01_도면 / 02_BOM / 03_승인

2) 파일명 규칙 적용

- 제품코드_부품명_버전.dwg 형식 - 예: PR1234_Bracket_V02.sldprt

3) 도면 버전 관리

- 설계 변경 시 별도 파일 저장 or PDM으로 이력 관리 - 변경사유, 일자, 변경자 기록 필수

4) 백업과 이중 저장

- 로컬+클라우드 또는 사내 서버에 정기 백업 - 데이터 손실 대비

3. PDM이란 무엇인가?

1) Product Data Management 시스템

CAD, 도면, BOM, 승인 문서 등 설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해주는 시스템 설계 변경, 승인 흐름, 버전 관리 등 자동화

2) 주요 기능

- 버전 이력 자동 저장 및 조회 - 도면 승인 프로세스 구축 - 부품 중복 방지 및 재사용 가능 - 사용자 권한별 접근 제한

3) 대표 솔루션

- SolidWorks PDM - Autodesk Vault - Siemens Teamcenter - Dassault ENOVIA

4. 설계 실무에서 데이터 관리 팁

1) 설계 변경 시 ‘REV’ 명확히 기록

- 예: REV.01 – 두께 5T → 6T 변경 - 도면 또는 별도 변경관리표에 기재

2) 도면 출력 시 ‘최신판’ 여부 확인

- 출력 도면 하단에 버전 표기 - 작업자는 ‘최종 승인본’만 사용해야 함

3) 팀원 간 파일 공유는 클라우드/PDM 우선

- 메신저 전송 지양 → 파일 유실, 충돌 발생 위험 - 공동작업 시 파일 잠금 또는 버전 병합 기능 활용

4) 폐기 도면은 별도 폴더로 격리

- 혼동 방지, 재사용 차단 - ‘EX_이전도면’ 또는 ‘ZZ_Archive’ 폴더로 이동

5. PDM 도입 전/후 비교

구분 PDM 도입 전 PDM 도입 후
파일 관리 폴더 수동 정리 체계적인 카테고리 자동 저장
버전 이력 수동 저장, 자주 누락 자동 백업 및 버전별 비교 가능
도면 승인 이메일 또는 종이 서명 전자 승인 플로우 설정 가능
협업 파일 덮어쓰기 빈번 동시작업, 파일 잠금 기능 제공

마무리하며

기계설계 데이터는 단순한 파일이 아니라, **기술 자산이자 회사의 경쟁력**입니다. 설계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으면,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고 부서 간 충돌이 발생하며 품질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처음엔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표준화된 파일 관리와 PDM 시스템 도입을 통해 더 빠르고 정확한 설계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1. 중소기업도 PDM 시스템을 도입하는 게 좋을까요?

파일 수가 많아지는 중소기업일수록 PDM이 유용합니다. 비용 부담이 있다면 무료 또는 경량형 솔루션부터 도입해 볼 수 있습니다.

2. SolidWorks 파일을 팀원끼리 공유할 때 주의할 점은?

동일 파일을 여러 명이 동시에 열어 저장하지 않도록 하고, 저장 전 항상 최신 버전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3. 도면 파일은 몇 년간 보관하나요?

보통 품목 폐기 후에도 최소 5년 이상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납품 제품이라면 고객사 기준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