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에서 도면은 설계자의 의도를 가공자, 검사자, 조립자에게 전달하는 유일한 매개체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훌륭한 설계도 도면에 정확한 표기 없이 전달되면 가공 오류나 조립 불량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도면을 잘 작성하려면 단순히 선을 그리고 치수를 적는 것이 아니라, 국제표준(KS/ISO)에 따른 올바른 표기법을 따라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도면 작성 시 꼭 알아야 할 표기 기준과 항목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 도면 선(Line Type)의 종류와 의미
1) 외형선(가시선) — 굵은 실선
- 제품 외부의 실제 보이는 형상을 나타냅니다. - 도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선입니다.
2) 숨은선 — 짧은 2점 쇄선
- 보이지 않는 내부 형상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예: 구멍 내부, 슬롯 내부 등
3) 중심선 — 1점 쇄선
- 원형이나 대칭 구조의 중심을 나타냅니다. - 일반적으로 얇은 실선으로 표시합니다.
4) 치수선, 연장선 — 얇은 실선
- 치수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선입니다. - 연장선은 측정 범위를, 치수선은 측정값을 나타냅니다.
2. 치수 기입 방법
1) 단위 표기
- 일반적으로 mm 단위를 사용하며, 단위는 생략 가능 - 단, mm 외 단위(m, inch 등)는 반드시 표기
2) 정위치 기입
- 글자는 항상 도면을 읽는 방향(왼쪽→오른쪽, 아래→위쪽)으로 배치 - 치수 숫자는 선 위에 적거나 선을 끊고 중앙에 표기
3) 치수 중복 금지
- 같은 정보를 두 번 이상 기입하지 않도록 주의 - 기준점을 명확히 하고, 상대 치수보다 누적 치수 기입 권장
3. 공차(Tolerance) 표기법
1) ± 치수 공차
- 예: Ø10.0 ±0.1 → 9.9mm ~ 10.1mm 허용
2) 한계치수 방식
- 예: Ø8.0~8.1 → 상한과 하한 값을 직접 기입
3) ISO 공차 기호
- 구멍: H7 / 축: g6 등 공차 등급 표기 - 상대 부품 간 끼움 상태 조절 가능
4. 표면 거칠기(Roughness) 표시법
1) 기본 기호
- 표면 거칠기를 나타내는 기호: ⌯ - 숫자와 함께 사용: ⌯ Ra 3.2
2) 가공 여부
- ⌯만 있으면 가공 필요 없음 - ⌯̸ (슬래시 추가): 가공 필요 - ⌯(밑에 숫자): 표면 거칠기 수치(Ra 기준)
5. 기하공차(Geometric Tolerance)
1) 주요 기하공차 기호
- 평면도: ⬜ - 원형도: ⬭ - 직각도: ⊥ - 위치도: ⊕
2) 공차 프레임 구성
- [기호] | [값] | [기준] 형태로 구성 - 예: ⊥ | 0.05 | A → A 기준면에 대해 0.05mm 직각도 허용
6. 나사 표기
1) 메트릭 나사
- 예: M10 x 1.5 - 직경 10mm, 피치 1.5mm
2) 나사 깊이 표기
- 예: M10 x 1.5 – 15 → 깊이 15mm 나사 가공
3) 관통/비관통 여부
- 관통: THRU - 비관통(탭가공): 깊이 표기 필요
7. 도면 제목란 및 기타 표기
제목란 필수 정보
- 도면번호, 부품명, 재질, 단위, 작성일, 작성자 - 회사마다 템플릿이 다르지만 기본 항목은 동일
재질 및 표면처리
- 예: S45C, AL6061, SUS304 등 - 표면처리: 아노다이징, 열처리, 도금 등
마무리하며
도면 표기법은 단순한 규칙이 아니라, 설계자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하는 ‘언어’입니다. KS 또는 ISO 기준에 맞게 정확하게 표기함으로써 제작자와의 소통 오류를 줄이고, 제품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위에 정리한 항목을 습관적으로 확인하고 도면에 적용하는 연습을 통해, 실무에서도 신뢰받는 설계자가 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1. 도면에서 단위를 꼭 표기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mm 단위는 생략 가능하지만, 다른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
2. 치수 기입 시 가공자는 어떤 방식이 편한가요?
기준점을 명확히 지정하고, 누적 치수 방식으로 기입하면 가공 및 측정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3. 공차나 표면 거칠기 표기를 생략해도 되나요?
생략은 가능하나, 중요한 기능 부위에는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