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 도면은 제품 생산, 조립, 검사, 유지보수를 위한 핵심 문서입니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도 도면으로 정확히 전달되지 않으면 제작 과정에서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면을 작성할 때는 ‘누가 봐도 똑같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기본 요소들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 기준에 맞춰 도면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필수 구성 요소들을 항목별로 정리해 소개하겠습니다.
1. 투상도(View) 구성
1)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 최소 3개의 기본 투상도를 포함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단면도, 상세도
- 내부 구조나 복잡한 부위를 표현할 때 추가 - 단면도에는 해칭(단면선)을 필수로 삽입
3) 등각도(Iso View)
- 3D 전체 형상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삽입 - 조립도나 발표 자료에 유용
2. 치수(Dimension)와 공차(Tolerance)
1) 모든 기능 치수 표기
- 제작에 필요한 모든 치수를 누락 없이 기입 - 기준면 또는 기준선에서의 거리 명확히 표시
2) 공차 기입
- ± 공차 또는 h7/g6 등 ISO 공차 표기 - 중요 치수에는 별도로 치수 공차 삽입
3) 누적치수 vs 기준치수
- 동일 치수 반복보다 기준점을 설정해 치수 단순화 - 가공 및 검사 시 오류 줄이는 방법
3.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
1) 기호 ⌯ 또는 ⌯̸ 표기
- 가공 여부, 거칠기 수치(Ra) 기입 필수 - 예: ⌯ Ra 3.2 → 표면 가공 필요, 3.2μm 거칠기
2) 주요 마찰면 또는 조립면에 우선 적용
- 무가공 부위는 생략 가능하지만 중요 기능면은 필수
4. 기하공차(Geometric Tolerance)
1) 위치도, 평면도, 진직도 등
- 형상 정밀도가 중요한 부위에 사용 - 기하공차 프레임을 활용해 기준과 허용값 명시
2) 기준 면(A, B, C 등) 지정 필수
- 검사 기준이 되는 면 또는 축 지정으로 품질 기준 명확화
5. 재질(Material) 및 열처리
1) 재료 명칭
- 도면 제목란 또는 별도 기입란에 S45C, AL6061, SUS304 등 명시 -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에 따라 재질 선택
2) 열처리 조건
- 필요 시 ‘열처리: HRc 50±2’ 등으로 표기 - 표면 경도, 내마모성 확보 목적
6. 도면 제목란 (Title Block)
기본 항목
- 도면번호, 부품명, 작성자, 작성일, 단위, 재질, 수량, 축척 - 회사별 템플릿 기준 사용
도면 개정 이력
- 변경 일자, 변경 내용, 버전 정보 기록 - 'REV 01, 02' 등 개정 관리
7. 기타 요소
1) 나사/공구 삽입 표기
- M6 x 1.0 – 15 깊이, 탭 여부, 관통/비관통 명확히 - 공구 접근 방향 또는 공정 지시도 삽입 가능
2) 어셈블리 도면의 경우
- 부품 번호, BOM 테이블, 조립 순서 기입 - 부품 구분 색상 또는 번호로 시각적 전달 강화
마무리하며
기계설계 도면은 단순한 그림이 아닌, ‘제작 지시서’이자 ‘법적 문서’입니다. 따라서 명확하고 표준에 맞는 요소들을 빠짐없이 포함시키는 것이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구성요소들은 도면 품질 향상뿐 아니라 가공 오류, 생산 지연, 품질 클레임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도면 작성 시 체크리스트처럼 활용해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1. 치수나 공차를 생략해도 되나요?
가공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기능 부위는 생략 가능하지만, 기능상 필요한 부위는 반드시 기입해야 합니다.
2. 재질과 표면처리는 꼭 명시해야 하나요?
네, 재질과 열처리 여부는 제품 성능과 품질을 결정짓기 때문에 설계자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3. 도면 제목란은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
CAD 프로그램(SolidWorks, AutoCAD 등)에서 템플릿을 설정하거나 회사 전용 타이틀 블록 양식을 사용하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